본문 바로가기
주식 경제 금융 핫이슈 📰

✅ 퇴직연금 중도정산 실수령액 계산 기준

by 아빠는 오늘도 육아 중 2025. 4. 7.
반응형

 

1. 정산 사유

  • 주택 구입
  • 전세 보증금 마련
  • 장기요양
  • 개인파산 또는 회생절차 개시 등

→ 이 경우에는 비과세 또는 과세 이연 가능성이 있어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.


2. 과세 방식

퇴직연금 중도정산은 일반적으로 퇴직소득세 부과 대상입니다.

  • 근속연수와 퇴직소득에 따라 퇴직소득공제 적용
  • 이후 **퇴직소득세율(6~38%)**에 따라 과세
  • 지방소득세(소득세의 10%) 추가

예: 근속연수 10년 / 퇴직연금 중도정산 2,000만원

  • 퇴직소득공제 약 1,200만 원
  • 과세표준 800만 원
  • 퇴직소득세 약 40~60만 원
  • 실수령액 약 1,940만 원 전후

※ 단, 세율은 개인의 소득수준, 근속연수 등에 따라 다르며, 실제 금액은 차이가 날 수 있음


3. 실수령액 계산 예시

항목금액(예시)
중도정산 금액 20,000,000원
퇴직소득공제 12,000,000원
과세표준 8,000,000원
퇴직소득세(예상) 약 55만 원
지방소득세 약 5.5만 원
실수령액 약 1,939,500원

 


📌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퇴직연금 중도인출 시 모두 세금을 내야 하나요?

  • 아니요. 주택 구입, 전세금 보증금 등 일정 사유는 비과세 또는 과세이연 처리됩니다.

Q2. 퇴직연금을 중도에 정산하면 연금 수령에는 영향이 없나요?

  • 있습니다. 중도정산한 금액만큼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는 총액이 줄어듭니다.

Q3. IRP 계좌는 중도정산이 안 되나요?

  • IRP 계좌는 원칙적으로 중도해지 불가, 다만 사망, 장애, 파산 등 특별 사유 시 인출 가능.

Q4. 실수령액은 언제 입금되나요?

  • 회사나 금융기관의 처리 속도에 따라 2~5일 정도 소요됩니다.

반응형